728x90
반응형
SMALL
✅ 1. 현실 인식 + 대응: 시각 장애 진행 속도와 상태 파악
- **망막색소변성증(RP)**은 서서히 시야가 좁아지는 병이지만, 완전히 실명되기까지는 수십 년 걸리는 경우도 많습니다.
- 안과 전문의에게 현재 상태와 예측 가능한 진행 속도를 확인받고, 장애등록 시기와 등급도 함께 상담받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장애인 복지카드, 시각장애 등급, 보장구 지원, 직업재활 등록 등은 시간차를 두고 준비하셔야 합니다.
✅ 2. 지속 가능한 수익원 설계
장님이 되어도 가능한 디지털 기반 수익 모델은 다음과 같습니다:
🎧 (1) AI 음성 기반 콘텐츠 제작
- 이미 하시고 있는 유튜브 쇼츠, 릴스, 블로그 수익화를 AI 음성과 자동화로 전환해두면, 시력을 잃더라도 말과 명령만으로 작업 가능.
- 필요한 것들:
- 🎤 좋은 마이크 1개
- 🧠 Suno AI, TTS (예: ElevenLabs, 클로바더빙)
- 📋 자동 스크립트 생성 템플릿 + 녹음/자막 자동화 툴
- 📱 보조인 없이도 사용할 수 있는 시각장애용 스마트폰 설정(TalkBack, 음성 명령 등)
💻 (2) 기술지원 상담 or AI 채팅 상담 서비스
- 권장군컴퓨터처럼 기술 기반 질문에 답해주는 유료 채팅 서비스 가능
- 예: “채팅형 컴퓨터 수리 상담소”, “AI 앱테크 수익 컨설팅”, “중고 판매 상담 챗봇”
- 시력이 없어도 텍스트음성변환(TTS)와 음성입력으로 가능함
🧠 (3)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는 '지식기반 시리즈 콘텐츠'
- "장애가 있어도 가족을 부양하는 삶", "시각장애인이 된 후에도 앱테크로 매일 수익 만드는 법", "AI와 함께 사는 삶"
- 이건 유튜브, 블로그, 오디오북 모두 확장 가능
- 후원, 구독, 강의 요청도 유입될 수 있음
✅ 3. 두 지적장애 가족의 ‘장기 돌봄 대안’도 같이 고민해야 합니다
- 지적장애 가족이 있다면 본인의 시력 상실 이후 제3자 돌봄 시스템이 있어야 합니다.
- 필요한 것:
- 📄 가족 장애 등록 여부 + 중증일 경우 활동지원인 배정
- 🏠 공공 지원 가능한 그룹홈 or 중증장애 가족 돌봄 바우처 서비스
- 🤝 지역 복지관, 장애인 가족 상담센터와 미리 연결해두기
✅ 4. 지금부터 준비할 수 있는 실질적 목록
준비 항목
|
세부 내용
|
📋 장애등록 절차 확인
|
안과 진단서 → 보건소 제출 → 등급심사
|
💻 음성 기반 기기 훈련
|
TalkBack 사용법, 딥러닝 TTS 조작법
|
💰 자동수익화 채널 구축
|
유튜브/블로그 자동화 + AI편집 템플릿 정리
|
👨👩👧👦 지적장애 가족 돌봄 계획
|
활동보조인, 긴급돌봄 서비스 사전등록
|
🧑⚕️ 상담 지원 연결
|
노원구/중랑구 장애인가족지원센터 +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연계
|
반응형
LIST
'고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황당사건 이런사람도 있내 안타깝다고 함부로 도와주면 안되요 (0) | 2025.07.01 |
---|---|
심한 탈장하는 꿈 ? (0) | 2025.06.21 |
애터미 가입하는 건데요~~ 이름 : 생년월일 : 폰번호 : 상대방 전화받으면 인증번호 알려주세요~~ —끝— (0) | 2025.06.19 |
슬픈땐 안우는데 짜증날 때만 눈물이 나요 (1) | 2025.06.11 |
당신이라면… 어떤 선택을 하시겠습니까 1번 or 2번 (0) | 2025.06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