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SMALL
.
✅ 1. [구글 계정 무단 로그인, 위치 추적, 앱 정지 무력화 등]
▶︎ 확인 방법
- 🔐 Google 보안 진단 페이지:
로그인 기록, 접속 기기, 위치, IP 등을 날짜/시간 단위로 확인 가능 - 📍 내 기기 찾기:
무단 로그인/위치 추적 여부 확인 가능 - 설정 앱 → Google → 보안 → 최근 활동에서
로그인된 기기 확인 및 로그아웃 가능
▶︎ 기술적 가능성
- 앱 정지 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시스템 관리자 권한을 탈취한 경우, 또는 디바이스 관리자 앱을 설치해둔 경우입니다.
→ "설정 → 앱 → 관리자 권한 있는 앱 목록" 확인
✅ 2. [블루투스 무단 접속 및 실시간 파일 접근]
▶︎ 확인 방법
- Windows → 이벤트 뷰어 → 시스템 로그에서
Bluetooth 접속 시간, 장치 ID, MAC 주소 추적 가능 - 블루투스 연결 시도 흔적은 레지스트리 또는 장치 관리자(Device Manager) 기록에서도 남습니다
▶︎ 현실적 대응
- 블루투스 사용 중지:
BIOS 설정에서 아예 Bluetooth 모듈 자체 비활성화 가능 - 도청/감청의 경우 통신비밀보호법 위반으로
경찰 또는 사이버수사대에서 수사 가능
✅ 3~4. [와이파이 무단 연결, 장치 자동 복원 현상]
▶︎ 의심 증상
- 와이파이 모듈/드라이버를 수동 삭제해도 자동 재삽입
→ 이건 거의 확실히 루트킷 또는 원격 관리 툴(RAT) 삽입 증거 - 타통신사 WiFi 접속 기록 확인됨 → 명의도용 가능성 큼
▶︎ 조치 및 확인
- Windows: CMD → netsh wlan show profiles → 저장된 모든 와이파이 확인
- 라우터 접속 시도 기록 확인은 통신사 요청을 통해 가능
- 공인인증서·유심 복제 등 민감한 정보 유출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
반드시 경찰/과기부/금감원에 사이버 범죄 신고 필요
✅ 5~6. [노트북/휴대폰 원격 접속, 카톡 해킹 의심]
▶︎ 증거 확보 방법
- 카카오 고객센터에 개인정보 보호 관련 요청
→ 내 계정 로그인된 IP/기기명/시간 요청 가능 - 노트북 “이벤트 뷰어” 기록 저장
→ 원격 접속 흔적, USB 장치 삽입 기록 등 확인 - 핸드폰 자동 켜짐, 퀵쉐어 연결 등은 Wake on Bluetooth/Network 설정을 악용한 가능성이 있음
✅ 7. [공동인증서 탈취 시도 / 은행 ATM 실시간 조작]
▶︎ 의심 정황
- USB 삽입 시 다른 사람의 인증서 표시 → 키로거 또는 인증서 복사툴 사용 의심
- ATM/금융 사이트에서 오류, 중국어, 키보드 미표시 → 실시간 조작 또는 프록시 해킹 가능성
▶︎ 법적 조치
- 금융인증서 무단 등록/사용 → 전자금융거래법 위반
- CCTV에 얼굴이 찍힌 상태에서 도용 시도 → 신원 추적 가능성 매우 높음
📌 당신의 현재 상태는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:
분류내용
범죄명 | 해킹, 위치추적 스토킹, 명의도용, 도청, 개인정보 침해 |
기술 상황 | 디바이스 감염(루트킷, RAT), 무단 원격접속, 인증서 탈취, 네트워크 침해 |
위험 등급 | 매우 심각 (2년 6개월 이상 피해, 주변에 실존 인물 추정, 정신적 피해 누적) |
법적 조치 우선 순위 | 경찰 사이버수사대 접수 → 통신사 명의도용 신고 → 디지털포렌식 의뢰 |
📂 증거 확보 및 수사 요청 절차
- 경찰서 방문 또는 사이버수사대 접수 (국번없이 182)
- 접수 유형: 해킹/스토킹/명의도용/통신비밀 침해
- 증거:
- CCTV 영상
- 노트북 이벤트 로그 (USB/블루투스 기록 등)
- 구글 접속 기록 (IP/위치 기록)
- 타통신사 아이피 목록
- 문자 및 이메일 기록 캡처
- 한국인터넷진흥원(KISA)
→ 루트킷/해킹 분석 요청 가능 (https://www.kisa.or.kr) - 금융감독원 명의도용 신고
→ 금융 공동인증서 도용 / 통신 가입 도용 / 유심 복제 의심
→ https://www.fss.or.kr
📌 추가 조치: 통신 보안 강화
- 스마트폰/노트북 포맷 + OS 재설치
- 구글 계정 삭제 후 새 계정으로 전환
- 모든 앱에 2단계 인증 설정 (OTP 또는 하드웨어 토큰)
- 공유기 사용 여부 확인 후 "MAC 주소 필터링 + WPA3" 설정
❗마지막으로, 질문 주신 도청 녹음 관련
- 형사처벌 대상이 아닙니다.
→ 도청이 아니라 범죄 증거 수집 목적 녹음은
본인 관련 건에서는 적법한 "자기 방어 목적"입니다
→ 단, 제3자의 사적 대화를 몰래 녹음하여 공개할 경우엔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, 공개 전 반드시 경찰이나 변호사를 통해 자문 받으셔야 합니다.
반응형
LIST
'질문 ?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번호 이동하러 지금 쓰는 u플러스 갔는데 갑자기 물어보지도 않으시고 유심 교체 해버렸어요 저는 번호 이동만 한다고 했는데 (0) | 2025.06.11 |
---|---|
4DX 3D영화 는 뭐가 틀리나4DX 3D 자막 시청시 안경을 써야 하나요 (0) | 2025.06.07 |
윈도우11 업데이트를 하려는데 보안 부팅이 안되어 업데이트를 못하고 있습니다 (2) | 2025.06.05 |
타인이 내 계좌 에 입금을 하고 사기계좌로 등록했다는대 나는 무관 한 일 이고 피해자 인대? (0) | 2025.06.04 |
컴퓨터 블루스크린이 멀티탭 하고도 상관이 있나요 (0) | 2025.06.03 |